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
- 떡갈비도시락
- CU 추천메뉴
- 맥도날드 천원의 행복
- CU도시락추천
- 이디야 허니브레드 포장
- 반올림피자샵 메뉴
- 피자헛 메가크런치
- 수제고구마피자
- HTML
- GS25 공화춘
- 남도떡갈비정식
- 코딩용어
- CU 떡볶이
- 공화춘 짜장라면
- 반올림피자샵 고구마피자
- CU케이크
- CU 우유생크림케이크
- 반올림피자샵 메뉴추천
- 신전떡볶이 메뉴조합
- 쿠캣 육즙갈비만두
- CU 편의점 디저트
- 자이언트 쫄볶이
- 이디야 허니브레드 가격
- GS25 메뉴 추천
- GS25 추천메뉴
- 피자헛 메가크런치 케미콤보
- 이디야 허니브레드
- 맥도날드 타로파이
- 타로파이
- Today
- Total
목록코딩정보 (6)
정그래의 아카이빙

DDNS의 원리 기본의 IP주소가 다른 IP주소로 변환되었을 때 해당 서버가 DDNS Server에 현재 어떤 IP주소로 변환되었는지 정보를 보낸다. 그러면 사용자들은 접속하려는 서버의 IP주소 변동유무와 무관하게 DDNS server를 이용하여 서버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웬만해서는 서버의 경우는 유동IP가 아닌 고정IP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 설치 ISP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업체로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약자이다. KT, SK브로드밴드 같은 업체이다. 예를 들어 KT에 살고 있는 집으로 인터넷설치를 요청한다면 일반적으로 한 개의 유동IP를 할당받는다. 이게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러면 가정집에서 서버를 운영할 수 있을까? 앞서 말한 것..

아이피(IP) 개념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위해 컴퓨터의 논리적인 주소를 구분하는데 논리적인 주소란 숫자를 사용해서 표현했다는 뜻이다. 1비트는 0과 1로 표현이 가능한데 현재 IP는 32비트 체계를 사용하므로 2의 32승, 약 40억 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192.165.0.1과 같은 형태의 주소이다. 웹에 접속할 때도 실제로는 IP주소를 이용해 통신하는 것이다. 다음 주소 'www.daum.net'을 입력하더라도 실제로는 해당 사이트 주소가 IP주소와 연결되어 있는 DNS Server를 통해 우리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폰의 전화번호부를 보면 김다음 010-1111-0000 처럼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있을..

내가 만든 사이트를 공개하고 들어올 수 있는 URL까지 등록했다고 하더라도 방문자가 거의 없을 수 있다. 이럴 때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검색엔진에서 내 사이트를 잘 찾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면 더 많은 사람이 내 사이트에 쉽게 들어 올 수 있다. 따라서 내 사이트가 검색엔진에서 잘 찾아지도록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각 검색엔진에는 네이버는 서치 어드바이저(Naver Search Advisor) 상의 웹마스터도구, 구글은 검색 콘솔(Goole Search Console) 등 내 사이트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곳이 있다. 이곳들에 내 사이트 URL을 등록하고 내 사이트임을 인증해야 한다. 다음으로 검색이 잘 될 수 있도록 관련 문서를 제출하고 SEO 즉, 검색엔진 최적화를 해주면 된다. Step..

HTML HTML이란 웹의 Front-End 즉, 우리가 보는 화면을 구성하는 언어이다. 따라서 Client Side라고도 부른다. HTML은 웹페이지의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화면의 골격을 알 수 있는 언어이다. HTML은 'Hypertxt Markup Langugage'의 약자이다. 여기서 Hypertext란 클릭했을 때 다른 사이트로 넘어갈 수 있는 링크를 의미하며 Mark up은 구조를 표시한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여러 웹 문서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언어였으나 요즘은 앱개발, 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용한 언어이다. 태그(Tag) HTML을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테트리스처럼 블록들을 쌓아서 특정한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형태를 떠올리면 된다. 여기서 사용된 블..

코딩을 통해 웹, 앱, 게임 등 다양한 개발들을 할 수 있다. 그중 웹은 우리들에게 친숙하고 적은 학습량으로도 빠르게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코딩을 공부할 때 웹을 먼저 익히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웹 개발을 학습한 후 앱, 게임 등으로 넘어갈 수 있는데 웹, 앱, 게임 등에서 사용하는 로직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웹개발은 크게 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로 나눌 수 있다. 프론트엔드(Front-End, Clinet Side) 웹의 프론트엔드는 우리들에게 보여지는 화면을 뜻한다. 코딩을 배울 때 웹 중 프론트엔드를 먼저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유는 코딩한대로 눈에 바로바로 보이기 때문에 배우기 쉽고 필요한 사전지식도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백엔드(Back-End, Server ..

코딩(Coding) 코딩이란 말이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 코딩이란 Code+ing의 합성어로 '코드를 작성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코드(Code)'란 컴퓨터 언어를 뜻하는 것으로 코딩은 결국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게 특정한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더 쉽게 말하자면 외국에 가면 해당 나라의 언어로 대화하듯이 코딩은 사람이 컴퓨터와 대화하는 언어이다. 마치 마법주문을 외우면 특정한 변화를 이끌어내듯 컴퓨터에도 코딩이란 마법주문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진을 자동으로 합성하고 보정하고 로봇을 움직이게 하거나 게임이나 커뮤니티 서비스를 구현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딩을 통해 수개월 걸릴 일을 단 몇 분만에 완료해낼..